저궤도 위성(LEO Satellite)은 기존의 정지궤도 위성보다 훨씬 낮은 고도에서 지구를 빠르게 회전하며,
인터넷 통신, 정찰, 탐사, 기상 관측, 항공항법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습니다.
특히 저궤도 형태의 위성통신은 스타링크(Starlink), 원웹(OneWeb), 텔레샛(Telesat) 등 글로벌 빅테크가 앞다퉈 진출하고 있는 차세대 산업입니다.
이 글에서는 저궤도 위성의 원리, 속도, 특징, 그리고 저궤도 위성 관련주까지 심층적으로 다룹니다.
글의 요약
- 저궤도 위성은 고도 500~2,000km에서 운용되며, 빠른 속도와 낮은 지연시간으로 차세대 통신 인프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 위성통신 원리는 다수의 위성을 통해 지구 전역을 커버하는 인터넷 네트워크망 구성에 기반합니다.
- 한국 및 글로벌 주식 시장에서 저궤도 형식을 이용하는 위성 관련 기업들이 미래 성장 산업으로 평가받고 있으며, 관련주 투자도 활발히 진행 중입니다.

저궤도 위성이란? 고도와 궤도 구조 개요
정의
저궤도 위성(LEO, Low Earth Orbit Satellite)은 지구 표면에서 500~2,000km 범위의 고도에 배치되는 인공위성으로,
빠른 회전 주기와 저지연 통신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궤도별 위성 비교
구분 | 저궤도 위성 | 중궤도 위성 | 정지궤도 위성 |
---|---|---|---|
고도 | 500~2,000km | 2,000~35,000km | 약 35,786km |
지구 회전 시간 | 약 90~120분 | 6~12시간 | 지구 자전과 동기화 |
지연 시간 | 20~40ms | 150~300ms | 600ms 이상 |
사용 목적 | 통신, 정찰, IoT | GPS, 네비게이션 | 방송, 통신 |
예시 | 스타링크, 원웹 | GPS 위성 | 인공위성TV, 통신위성 |
기술적 특성
- 빠른 지구 회전으로 인해 하나의 위성이 지역을 오래 커버하지 못하지만, 수천 기 이상의 위성 군집(메가콘스텔레이션)을 구성하여 실시간 통신을 유지함
- 각 위성 간 레이저 통신을 활용해 네트워크처럼 동작

저궤도 위성통신 원리: 지구 어디서든 연결하는 구조
저궤도 형태의 위성통신은 위성과 사용자 단말 간 직접 연결이 아닌,
다수의 위성과 지상국 간의 다중 중계 네트워크를 통해 작동합니다.
기본 원리
- 사용자 단말 → 상공의 위성
- 전파 또는 레이저를 통해 데이터 송신
- 위성 간 통신 (Inter-Satellite Link)
- 위성 간 직접 연결을 통해 데이터 릴레이
- 최종 수신 위성 → 지상 게이트웨이
- 지상국으로 최종 데이터 전송
- 인터넷망 접속 또는 수신지 전송
- 사용자 간 실시간 데이터 송수신 가능
기술적 핵심 요소
- Ka 밴드, Ku 밴드: 고주파 대역 사용으로 고속 데이터 처리
- 지능형 추적 안테나: 위성의 이동에 맞춰 실시간 추적
- 지상국 자동 핸드오프: 위성 교체 시 끊김 없는 전환
장점
- 해양·사막·극지방에서도 통신 가능
- 재난·분쟁 상황에서도 긴급 통신 수단 제공
- 글로벌 커버리지 구축에 최적화

저궤도 위성 속도: 다운로드, 업로드, 지연 시간
2025년 기준으로 기존 통신 위성보다 빠르고 안정적인 인터넷 속도를 제공합니다.
평균 속도
항목 | 평균 수치 |
---|---|
다운로드 속도 | 100~250Mbps |
업로드 속도 | 20~40Mbps |
지연 시간 (Latency) | 20~40ms |
실제 사용 지역 예시 | 미국 시골, 한국 산간, 해양 |
스타링크 기준으로, 일부 지역에서는 300Mbps 이상 속도도 확인됨
비교: 일반 통신과의 속도
서비스 유형 | 다운로드 | 업로드 | 지연 시간 |
---|---|---|---|
유선 광랜 | 500~1000Mbps | 100~300Mbps | 1~10ms |
5G 이동통신 | 100~800Mbps | 50~100Mbps | 10~30ms |
저궤도 위성 | 100~250Mbps | 20~40Mbps | 20~40ms |
저궤도 위성은 물리적 한계로 유선보다 느리지만,
이동성과 커버리지 측면에서는 압도적인 장점을 갖습니다.

저궤도 위성 특징: 기술·운용·사업적 강점
1. 낮은 지연 시간 (Low Latency)
- 고도 550km의 위성이기 때문에 데이터 전송 거리가 짧아 지연시간이 획기적으로 짧아짐
- 고주파 대역 사용과 위성 간 통신 기술로 지연 최소화
2. 대규모 위성 네트워크 (Constellation)
- 수천 기의 위성이 전 지구를 커버하는 메쉬 네트워크 구축
- 서비스 연속성 확보, 커버리지 사각지대 최소화
3. 자동 추적형 단말기
- 사용자 단말의 안테나가 자동으로 위성을 추적
- 초보자도 간단히 설치 가능
4. 고속 설치 가능
- 인프라 구축 없이 즉시 서비스 시작
- 시골, 오지, 군사 작전지역에서도 사용 가능
5. B2B/B2G 활용성
- 국방, 항공, 해양, 재난 대응, 산림 감시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응용
- 정부 계약(예: 우크라이나, 한국 해경 등)에서 실증

저궤도 위성 관련주: 미국과 한국 시장 주요 종목 분석
미국 저궤도 위성 관련주
종목명 | 티커 | 주요 사업 |
---|---|---|
Maxar Technologies | MAXR | 위성 제조 및 영상 분석 |
Iridium Communications | IRDM | 위성통신 서비스 제공 |
Viasat | VSAT | 저궤도 형태의 위성망 구축 및 통신 |
AST SpaceMobile | ASTS | 스마트폰용 위성 인터넷 개발 중 |
Amazon (Kuiper) | AMZN | 스타링크 경쟁 프로젝트 진행 |
한국 저궤도 위성 관련주
기업명 | 종목 코드 | 관련 사업 |
---|---|---|
쎄트렉아이 | 099320 | 위성체 개발 및 영상 시스템 |
한화에어로스페이스 | 012450 | 위성 발사체, 엔진 |
인텔리안테크 | 189300 | 해양·육상용 위성 안테나 |
AP위성 | 211270 | 위성 단말기 및 통신 시스템 |
한국항공우주산업(KAI) | 047810 | 위성 부품 개발 및 공급 |
특히 인텔리안테크는 스타링크 해양용 단말기 공급 계약 체결로 주가 급등 사례 있음.

저궤도 위성의 미래와 산업 전망
시장 전망
- 2025~2030년 CAGR(연평균 성장률): 약 18%
- 2030년 글로벌 시장 규모: 500조 원 이상 예상
- 한국 우주 산업 예산: 2024년 기준 9,000억 원 → 2027년 2조 원 계획
핵심 성장 동력
- 6G 백홀(Backhaul) 인프라 핵심 역할
- 자율주행차, IoT 디바이스, 무인항공기 통신 지원
- 위성 기반 콘텐츠 스트리밍, 글로벌 디지털 격차 해소
기술 과제
- 스페이스 데브리스(우주 쓰레기) 처리
- 위성 충돌 방지 시스템 개발
- 위성 수명(5~7년) 이후 교체 계획 필요
Q&A
저궤도 위성과 정지궤도 위성의 가장 큰 차이는 무엇인가요?
고도와 지연 시간입니다. 저궤도 형태의 위성은 낮은 고도로 지연 시간이 짧고 빠르며, 정지궤도는 지구 자전과 같은 속도로 회전하여 위치가 고정됩니다.
저궤도 위성 인터넷 속도는 어느 정도인가요?
다운로드 평균 100~250Mbps, 업로드 20~40Mbps, 지연 시간은 20~40ms로 실생활 인터넷 사용에는 충분합니다.
저궤도 위성 관련주는 어디에 투자하면 되나요?
미국은 Maxar, Iridium, AST 등이 있고, 한국은 쎄트렉아이, 인텔리안테크, 한화에어로스페이스 등이 대표적입니다.
저궤도 위성은 군사적으로도 활용 가능한가요?
네, 정찰, 통신, 미사일 조기 경보 등 다양한 방산 영역에 적용됩니다. 이미 미 국방부와 계약을 체결한 민간 기업도 많습니다.
앞으로 개인이 저궤도 위성을 이용할 수 있을까요?
가능합니다. 현재 스타링크, 원웹 등의 서비스는 일반 사용자에게도 제공되고 있으며, 점차 가격과 설치 난이도도 낮아지고 있습니다.